매실액기스를 만드는 법 . 매실액기스를 몇 번 담가보긴 했었지만 이번처럼 많은 양이 아니어서 그랬는지 손이 이렇게 많이 가는 일인줄은 몰랐습니다. 액기스를 만들고 나온 매실로 장아찌를 만들고, 그리고 남은 매실로 쨈을 만들고.....그리고 나온 씨로는 베개를 만드는 과정까지....어느 하나 버릴 것 없는 것이 매실인만큼 손도 엄청 가는 것이 매실이더군요. ▣ 매실액기스 만들기 사진에 보여지는 매실의 양은 총 15kg입니다. 설탕과 1 : 1로 맞추어야 하니까 설탕 15kg까지 하면 항아리는 최소한 30리터가 넘어야겠죠.
적은 양의 매실액기스를 만들 때 보통 유리병이나 플라스틱을 사용하게 되는데요. 가능하면 항아리를 구입해서 쓰시는게 발효도 잘 되고, 나중에 먹어보면 액기스 맛도 한결 좋아요.
상처가 난 매실을 다 골라낸 다음, 깨끗이 씻었어요.
바닥에 무명천을 깔고 매실을 말리는 모습이예요.
매실을 뒤적여가며 고루 소주를 뿌린다음 역시 잘 말려주어야 합니다.
그래서 황설탕으로 준비를 했습니다.
매실을 적당히 넣고, 설탕을 한 번 뿌려주고, 매실을 적당히 넣고 설탕을 한 번 뿌려주고.....를 반복합니다.
이 상태로 그냥 뚜껑을 닫으면 안됩니다.
햇볕이 들지 않고 통풍이 잘 되는 서늘한 곳에 두면 됩니다.
저 꼭지가 단순히 지저분해보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쓴맛을 낸다고 합니다. 조금 번거롭더라도 액기스를 담그기 전에 일일이 꼭지는 따서 버리고 만드는 것이 좋겠어요. |
매실액기스 만들기-- 사진 ② |
이제는 더 이상 넣어서 덮개를 만들어줄 설탕이 없으니까 바닥에 가라앉아 있는 설탕을 녹여줘야 해요. 손을 깨끗이 씻은 다음 물기를 잘 말리구요. 매실액기스 담그는 방법이 정리되어 있는 문서들을 보면 대부분 처음 설탕과 매실을 켜켜이 넣어준다음 밀봉해서 1~2개월정도 발효시키라고 되어 있잖아요. 설탕도 처음에 바로 1 : 1 동량으로 다 넣어주는 것보다 매실이 보일 때마다 조금씩 설탕뚜껑을 만들어 덮어주니까 따로 접시나 그릇 등으로 눌러주지 않아도 매실이 떠오를 걱정하지 않아서 좋구요. 바닥에 가라앉아 있는 설탕의 양도 훨씬 적어서 좋았습니다. |
매실액기스 만들기-- 사진 ③ |
두달여 가까이 정성을 들인 매실액기스가 드디어 완성이 되었습니다. ▣ 매실액기스 거르기
|
매실원액 만들기
1. 매실을 손으로 문질러 씻기보다는 채반에 담아 흐르는 물에 씻는다.
2. 물기를 말리고, 통풍이 잘 되는 그늘진 곳에 두어시간 정도 둔다.
3. 냉동실에 넣어 3-4일간 얼린다. 이렇게 얼리는 이유는...물은 얼면 부피가 늘어난다.
마찬가지로 매실속에 있는 수분도 얼면 부피가 늘어나겠지요. 부피가 늘어나면서 세포막이
파괴되어 원액의 추출이 훨씬 잘 됩니다. 속까지 꽁꽁 얼게 3-4일간 두시는 것이 좋다.
(적당한 양일때는 이방법도 좋을듯 싶네요)
4. 용기로는 유리나 사기, 또는 옹기(항아리)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다. 가장 좋은 것은 옹기항아리이지만 권장할 만한 것은 과실주용으로 나오는 유리항아리. 이것이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가능한 한
플라스틱이나 스텐레스 재질의 통은 사용하시지 마세요.
여기에 얼린 매실을 한겹 깔고 이것이 덮일 정도로 설탕을 넣은 다음 다시 매실 한겹... 이런 식으로
반복해 준다. 설탕은 흰설탕을 쓰시는 것이 좋다.
(흑설탕,황설탕은 설탕자체에 향이 있기때문에 매실의 향을 많이 느낄 수 있는 흰설탕으로 해보세요)
(설탕량은 동량으로 하는 것이 좋다내요.아님 7:3정도 해도 된답니다)
5. 끝까지 차면 입구를 봉하고 그늘지고 선선한 곳에 놓아둔다. 빨리 드시려면 그대로 그늘진 곳에
두시면 되고, 일반냉장고나 김치냉장고등에서 서서히 발효시키는 것이 더 좋다.아무리 설탕에 절였다고 하더라도 온도가 높으면 곰팡이가 필 염려가 있을 뿐더러 아시다시피 저온숙성이 여러모로 더 낫기 때문이다.
유리항아리인 경우는 뚜껑이 있기 때문에 별도의 봉인절차가 필요없지만 항아리의 경우는 입구를 비닐이나 랩으로 덮은 후 고무줄로 동여매는 일반적인 방법이 있고, 틈새를 촛농등으로 매우는 방법도 있다.
6. 며칠후면 원액이 서서히 빠져나와 갈색의 액체가 바닥에 고이는 것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이렇게 되면 원액에 묻어 덜 녹은 설탕이 아래로 가라앉아 버린다. 따라서 며칠에 한번 정도 뒤집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이유로 유리항아리가 가장 편리하다는 거죠. 밀폐할 수 있는 뚜껑이 있으니 뒤집어 놓을 수
있기 때문이예요.
7. 매실이 쪼글쪼글하게 되어 떠오르면 거의 추출이 다 된 것. 상온에서는 빠르면 40-50 일 정도면
드실 수 있지만 냉장고의 경우는 두달 이상은 둔다.(100일 정도면 가장 좋구요) 완료되면 원액만
따라서 별도의 용기에 넣어 두고 필요할때 마다 드시면 됩니다.
그리고 남은 매실은 드셔도 되고, 아니면 그대로 둔 채로 소주 사다가 부어 놓으면 매실주도 드실 수
있어요. 일종의 재탕(?) 이지요.
그리고 매실주까지 우려먹고 남은 매실은 목욕하실 때 포크로 구멍 송송 뚫어서 욕조에 열댓개 정도
던져 놓으면 피로회복과 피부에 좋아요. 이건 삼탕!!!. 이 단계까지 우려 먹었으면 미련없이 버리세요.
항아리를 땅에 묻고는, 잘씻어 물기를 말린 매실을 항아리에 넣고는 꼭꼭 눌러준다 합니다.
설탕은 넣지 않아요.
두어달 뒤부터 먹을 수 있는데 한뼘정도는 곰팡이등이 핍니다. 그걸 잘 걷어주고
발효된 액체를 거두고 짜고 ..
이렇게 만든 매실원액이 진짜라 합니다.
저도 올해는 이방법으로 한 항아리 만들려 합니다.
그리고 설탕없이 이렇게 만든 매실원액은 두어달뒤에 매실씨와 육질이 절로 분리가 된다 하네요.
매실씨는 물에 헹구고 삶고 햇볕에 말려 베게속으로 만들고요. 육질은 장아찌를 만드세요.
우메보시는 매실에 소금을 뿌리고 차조기잎으로 색을 낸 것입니다.
차조기잎은 깻잎처럼 생겼는데 색이 자주빛 비스무리 합니다.
매실을 좋아하는 사람들™
http://cafe.daum.net/mesilholic
원액 만드는 방법을 2가지로 설명해드릴께요.
1. 씨가 여물어지기 전에 청매실일 때 참기름 짜는 방앗간 같은 곳에 가지고 가면 매실을 고추가는 기계에 넣어 빻은 후 참기름 짜는 기계에 넣어서 매실 액을 짜 준답니다. (20KG정도면 매실 액이 12L정도 나오는 거 같아요)
스텐 다라이에 짜온 매실액을 부은 후 불위에 올려 놓은 후 뚜껑을 덮지 말고 아주 약한 불에서 김만 날 정도로 아주 서서히 김을 날려준답니다. 하루 정도면 많이 액기스가 되어가지만 양이 적어지면 끊기 쉬우니까 가스렌지위에 벽돌등을 올려 놓고 더 높이 그릇을 올려야되요(이때 그릇은 더 작은 그릇으로 옮겨야 바닥에깔려서 끊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겠죠) 저어보아 줄줄흐르지 않고 흐를정도면 물에 희석하기도 두고 드시기에도 아주 좋아요.(꿀을 섞어 드시면 맛이 기가막히답니다)
2. 청매실이든 익은 매실이든 상관없이 매실은 잘 씻어 물기를 뺀 후 항아리에 넣은 후 입구를 비닐로 덮고 고무줄로 꽁꽁 묶어 밀봉하세요. 6월에 담그면 추석무렵에 열어보시면 곰팡이 같은 거 전혀 끼지 않고 매실에 물이 나와 있는데 매실에 비해 양이 얼마 나오지 않아요. 이때 물을 따라내어 귀하게 쓰시면 됩니다.
물이 나오는 과정을 보고 싶은 분은 요즘 나오는 생수통같은 통에 넣고 뚜껑을 꼭 닫아 두면 투명해서 매실에서 물방울처럼 밖으로 방울방울 나오는 모습을 볼 수 있답니다.
그리고 매실이 아까운데 또 귀하게 쓰는 방법이 있읍니다.
바구리에 매실을 건져 속에 면장갑끼고 위에 고무장갑낀 후에 씨와 살을 발라냅니다.
1) 씨는 잘 씻어 물에 삶아 잘 말리기를 3회 정도 하면 씨가 맑은 쇠소리가 난답니다 그리고 아주 가벼워져요.(삶는 것을 반복하지 않으면 아무리 잘 말려도 나중에 벌레가 생기고 무겁고 베고 자도 개운한 느낌이 없느거 같아요.
2) 살(할 수 있다면 고추가는 기계에 한번 갈은 다음에 )은 설탕과 매실을 같은 비율로 잘 섞어 다시 옹기에 담아 두었다가 몇 달 후 열어보면 아주 맛있는 매실 쨈이 되어 있을 거예요.(익은 매실은 익은 매실대로 향이 있고 청매실은 청매실대로 맛이 다르답니다. )
불에 팍팍 끊인것이 아닌 그대로 의 쨈이라 더 좋아요.
'다이어트와 헬스,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심운동’ 또 포기? 이것만 지키면 1년 쭉~ (0) | 2009.06.16 |
---|---|
토요일 길떠남에 있어서 오늘의 상황 (0) | 2009.06.13 |
6월 11일 다이어트 식단 (0) | 2009.06.11 |
6월 10일 식단 (0) | 2009.06.10 |
윗몸 일어키기로 복부지방이 없어진다고?? (0) | 2009.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