君子三樂(군자삼락)
孟子曰, 君子有三樂, 而王天下, 不與存焉 (맹자왈, 군자유삼락, 이왕천하, 불여존언) 가.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 (부모구존, 형제무고, 일락야) 나. 仰不愧於天, 俯不怍於人, 二樂也 (앙불괴어천, 부불작어인, 이락야) 다. 得天下英才, 而敎育之, 三樂也 (득천하영재, 이교육지, 삼락야) 君子有三樂, 而王天下, 不與存焉 (군자유삼락, 이왕천하, 불여존언) -孟子-
라. 孔子曰, 益者三樂 損者三樂 (공자왈, 익자삼락 손자삼락) 마. 樂節禮樂 樂道人之善 樂多賢友 益矣. (락절예악 락도인지선 락다현우 익의) 바. 樂驕樂 樂佚遊 樂宴樂 損矣 (락교락 락일유 락연락 손의) -論語-
<해석> 1.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맹자왈, 군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다. 천하를 다스리는 왕은 이에 들지 않는다. 가. 부모 두 분께서 살아 계시며 형제들에게 별 탈 없는 것이 첫째가는 즐거움이며 나. 위로 하늘을 우러러 보아도 한 점 부끄러움이 없고 아래로 사람들을 보아도 한 점 부끄러움 없는 것이 둘째가는 즐거움이요 다. 천하 영재를 얻어 그를 가르쳐 훌륭한 인재로 길러 내는 것이 셋째 가는 즐거움이다. 군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다. 그러나 천하를 다스리는 왕은 이에 들지 않음을 거듭 강조한다. -맹자-
라. 공자왈, 이익이 되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으며 손해되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다. 마. 절제가 있는 예도와 풍류를 좋아하며 다른 사람의 착함을 본받는 것을 좋아하고 착한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것은 이익이 되는 세 가지 즐거움이다. 바. 교만을 부리는 것을 좋아하며 하는 일 없이 놀기를 좋아하고 잔치를 벌이는 것을 좋아 하는 것은 손해가 되는 세 가지 즐거 움이다. -논어- |
'마음의양식들 > 공자의 마지막 공부 주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우고 때로 익히면 (0) | 2021.03.04 |
---|---|
우리를 뜨끔하게 만드는 공자의 명언 10개 (0) | 2021.02.18 |
주역 점을 치는 방법 중서법, 육변서법, 척전법, 동전 던지는 점[출처] 주역 점을 치는 방법 중서법, 육변서법, 척전법, 동전 던지는 점|작성자 사주심리상담 (0) | 2021.01.04 |
이런 뜻일 줄 상상도 못했어요 (0) | 2020.12.17 |
음양5행/4주8자/64괘/천간지지 (0) | 2020.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