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와 꽃나무

마삭줄

오우정 2018. 6. 6. 19:57

 

옛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무엇을 묶을 때 쓰이는 밧줄은 필수품이었다.

농산물을 수확하여 옮길 때는 물론이고 산에서 나무 한 짐을 등에 지고
내려오려 해도 튼튼한 줄이 필요했다.

그래서 사람들은 지금도 출세를 하고 큰일을 하려면 ‘줄’이 있어야 한다고 믿는다

마삭줄이라 불리는 덩굴나무가 있다.

‘마삭(麻索)’이란 원래 삼으로 꼰 밧줄을 뜻하는 삼밧줄의 한자식 말이다.

마삭줄은 삼밧줄 같은 줄이 있는 덩굴나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나 마삭줄의 줄은 간단한 밧줄로 쓸 수는 있지만, 삼과 비교할 만큼 튼튼한 덩굴은 아니다.

 다만 남부지방의 숲속에서 흔히 자라는 탓에 쉽게 만날 수 있는 덩굴나무로서

삼밧줄처럼 요긴하게 쓸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마삭줄은 따뜻한 남부지방이 자람 터다.

 요즈음은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중부지방인 경북 남부까지 올라와 있다는 보고도 있다.

 늘푸른 넓은잎나무이며, 상록수 숲에서 다른 큰 나무를 타고 올라가면서 살아간다.

 때로는 바위나 산사태가 난 땅을 뒤덮기도 한다대체로 바위를 덮거나 땅바닥을 길 때는 작은 잎을 달고 꽃이 잘 피지 않는다.

반면 나무를 타고 올라가면서 비교적 햇빛을 잘 받을 때는 잎도 크고 꽃도 잘 핀다.

잎은 손가락 한두 마디 정도로
기본적인 모양은 타원형이며, 표면에 광택이 있는 녹색이며, 환경에 따른 잎 모양의 변화가 다른 어떤 나무보다도 크다.

 때로는 같은 나무라고 보기
어려울 만큼 잎의 형태가 서로 다른 경우도 있다.

<BR><BR>마삭줄이 큰 나무를 타고 올라가는 방식은 비정한 자연계의 치열한 경쟁사회에서도
지켜야 할 도리를 지키는 것 같아 마음이 훈훈하다. 짧은 공기뿌리를 키다리 큰 나무의 껍질에 조심스럽게 붙이면서 올라간다. 이런 방식은 자람의
장소를 아무런 대가 없이 빌려준 나무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는다.

휘감고 올라가면서 아낌없이 몸을 빌려준 나무를 되레 조여서 결국 숨 막혀 죽게 하는 등나무와 비교하면 마삭줄은 ‘신사 덩굴’이다.

또 높이 올라가는데도 절제가 있다. 원래 강한 햇빛을 좋아하지 않으니 꼭대기로 올라가 광합성
공간을 빼앗지 않는 것도 그의 마음씨를 알 수 있는 대목이다[Daum백과]

 

 

 

 

 

 

 

 

 

 

 

 

 

 

 

 

 

'야생화와 꽃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련화  (0) 2018.06.07
둥근잎다정큼나무  (0) 2018.06.06
큰금계국  (0) 2018.06.05
익모밀 ,어성초  (0) 2018.06.04
부처꽃  (0) 2018.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