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
마주나며 위쪽의 잎은 특히 커지지 않고 길이 10~40mm, 나비 2~4mm의 댓잎피침형이다. 아래쪽의 잎은 밑부분이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된다. 줄기 위에는 간혹 4개의 잎이 십자형으로 돌려난 것처럼 배열된다.
꽃
5월에 잎겨드랑이에서 꽃대가 나와 1개의 흰 꽃이 위를 향해 달려 핀다. 양성화이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각 5개이며 꽃잎의 길이는 6mm쯤이다. 수술은 10개이고, 꽃밥은 노란색이며, 씨방은 3갈래로 갈라진 암술대가 붙는다.
열매
6~7월에 삭과가 달려 익는데 둥근 달걀꼴이고 3갈래로 갈라진다. 씨에는 작은 돌기가 빽빽이 나 있다.
특징 및 사용 방법
들별꽃이라고도 한다. 사각뿔 모양의 덩이뿌리는 무처럼 살이 찌며 1~2개씩 붙는다. 줄기는 1~2개씩 나오며 흰 털이 난다. 꽃 모양이 별과 같고 산에서 피기 때문에 개별꽃이라 부른다. 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과 줄기는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효능
'야생화와 꽃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삭소름(서울식물원) (0) | 2022.03.11 |
---|---|
부겐베리아(서울식물원) (0) | 2022.03.11 |
광대나물꽃 (0) | 2022.03.05 |
봄까치 꽃 (0) | 2022.03.05 |
복수초(인천대공원) (0) | 2022.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