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금 회수율높이는 패닝접시 사용
NO | 재 질 | 비 중 | NO | 재 질 | 비 중 |
1 | 석 | 0.056 | 46 | PIANO WIRE | 7.63 |
2 | Li (리듐) | 0.53 | 47 | SCS | 7.76 |
3 | K (칼륨) | 0.86 | 48 | SCM (크롬 몰리브덴강제) | 7.77 |
4 | ASBESTOS | 0.93 | 49 | SCR | 7.77 |
5 | RUBBER | 0.94 | 50 | SNC 21,22 | 7.81 |
6 | Na (나트륨) | 0.97 | 51 | S10C∼S50C | 7.85 |
7 | H₂O(물) | 1 | 52 | SB | 7.85 |
8 | N.B.R | 1.2 | 53 | SCH | 7.85 |
9 | PLASTIC | 1.2 | 54 | SF | 7.85 |
10 | 우레탄 고무 | 1.25 | 55 | SNCM | 7.85 |
11 | EPOXY | 1.27 | 56 | SS (일반 구조용 아연강제) | 7.85 |
12 | TEFLON | 1.38 | 57 | STKM (기계 구조용 탄소강) | 7.85 |
13 | Ca (칼슘) | 1.55 | 58 | SNC 1,2,3 | 7.93 |
14 | Mg (마그네슘) | 1.743 | 59 | SUS304 (배관용 스덴레스) | 8.03 |
15 | CARBON | 1.75 | 60 | HBsC | 8.2 |
16 | Be (베탈륨) | 1.84 | 61 | YBsC | 8.56 |
17 | 불소 고무 | 2 | 62 | Nb (니오브) | 8.57 |
18 | C (탄소) | 2.25 | 63 | PBC | 8.63 |
19 | Si (규소) | 2.33 | 64 | Cd (카드뮴) | 8.65 |
20 | 세라믹 | 2.5 | 65 | BC (청동 주물) | 8.71 |
21 | AC3A | 2.66 | 66 | Ni (니겔) | 8.85 |
22 | AC 3B | 2.77 | 67 | Co (코발트) | 8.9 |
23 | Al (알미늄) | 2.8 | 68 | Cu (구리) | 8.96 |
24 | Ba (바륨) | 3.78 | 69 | LBC 3(연청동 주물) | 9 |
25 | Ti (티탄) | 4.54 | 70 | LBC 4 | 9.17 |
26 | Se (셀렌) | 4.81 | 71 | Bi (비스무트) | 9.8 |
27 | Ge (게르마늄) | 5.36 | 72 | Mo (몰리브덴) | 10.2 |
28 | V (바나듐) | 5.82 | 73 | Ag (은) | 10.497 |
29 | Ga (갈륨) | 5.91 | 74 | Pb (납) | 11.34 |
30 | Te (텔루르) | 6.24 | 75 | 연 | 11.37 |
31 | Zr (지르코늄) | 6.5 | 76 | Th (토륨) | 11.5 |
32 | Sb (안티몬) | 6.62 | 77 | Pd (팔라듐) | 12 |
33 | Ce (세륨) | 6.9 | 78 | Rh (로듐) | 12.4 |
34 | Cr (크롬) | 7.09 | 79 | Hg (수은) | 13.6 |
35 | Zn (아연) | 7.14 | 80 | U | 18.7 |
36 | SCMnH | 7.22 | 81 | W (텡스텐) | 19.26 |
37 | WJ 2 | 7.27 | 82 | Au (금) | 19.32 |
38 | Sn (주석) | 7.3 | 83 | Pt (백금) | 21.43 |
39 | In (인듐) | 7.31 | 84 | Ir (이리듐) | 22.5 |
40 | FCD | 7.32 | 85 | CASTABLE | |
41 | FC | 7.33 | |||
42 | WJ 3 | 7.33 | |||
43 | FCMB | 7.38 | |||
44 | WJ 1 | 7.38 | |||
45 | SC (크롬 강제) | 7.61 |
사금을 하는 기장 기본적인 장비인 패닝접시를 모르시는 분은 없을 것이며 그 사용법또한 다 알고 있겠지만 그래도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이나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글을 올려 드립니다.
해외 광산에서 사금을 추출하는데 대부분의 광산에서 마무리 작업으로 패닝접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패닝접시만 몇십년씩 해온 현지인들도 블랙샌드가 많은 경우에는 미세금을 일부밖에 회수하지 못하고 흘려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 두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 금은 비중이 물보다 아주 높지만 물을 밀어내려는 성질이 아주 강하다 보니 표면 장력으로 인하여 공기와 한번 접촉하고나면미세금은 물위를 쉽게 떠다닙니다.
두번째, 블랙샌드는 워낙 응집력이 강해 한번 뭉쳐버리면 패닝접시를 흔들어도 미세금은 블랙샌드를 뚫고 그 밑으로 가라앉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금을 패닝하는데 유용한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먼저, 금을 패닝하는데 좋은 방법은 패닝접시에 주방세제 한두방울을 떨어뜨려 사용하는 것입니다.
해외에는 패닝 전용으로 만들어진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지만 그런 제품 대신 주방세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미세금을 패닝할때 특히 유용한 방법입니다.
그 이유는 비누가 물 표면에 떠다니는 미세금을 떠오르지 않게 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다음은 자석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또한 미세금을 추출하는데 자석이 없으면 패닝하는데 시간도 오래 걸리고 손실도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블랙샌드가 뭉쳐있는곳에 자석을 갖다 대면 한꺼번에 많은양의 블랙샌드가 자석에 붙으면서 그안에 포함된 금도 함께 따라 올라올 수 있습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여러번의 테스트를 거친 후 여러분만의 방법을 개발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저는 적은양을 넓게 펼쳐 자석에 붙이고 그렇게 해서 모은 블랙샌드를 다시 작업하는 식으로 몇 번의 반복과정을 거칩니다.
또, 한가지는 스포이드병의 사용입니다.
스포이드 병이 없으면 블랙샌드를 완전히 없애기 위해 패닝을 마무리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됩니다.
아래 사진과 같은 스포이드 병이 여러분의 패닝시간을 단축 시켜줄 것입니다.
국내에 판매중인 스포이드병
마지막으로, 패닝을 하면서 무심코 큰 돌들을 버리는데 한번쯤 주의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돌에 붙어있는 금을 무심코 버리는 일이 벌어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더군다나 석영등은 금을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금을 던져 버리는 일이 없도록 자세히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등산장비,사금 탐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떤 금속광물에 금이 있는가를 직접 분석해보는 방법입니다 (0) | 2015.03.26 |
---|---|
사금광 탐사방법 (0) | 2015.03.26 |
패닝전에 채반도착 (0) | 2015.03.23 |
첫 탐사 (0) | 2015.03.22 |
금속 비중측정법 (0) | 201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