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중국여행

실크로드

오우정 2007. 5. 12. 08:24
내륙() 아시아를 횡단하는 고대 동서통상로(西).

오늘 중국쪽 실크로드를 답사하기위해 우루무치로 향한다

지금은 교통이 좋아져서 낙타를타고 사막을 횡단하는 그들의 심정을 다 이해할순없지만 그들이 남긴 흔적을 찾아보고자 함이다

본문
캬라반 숙소의 정문 / 아나톨리아 지방을 방문하는 대상(隊商, 캬라반)들의 숙소로 잠자리와 식사를 제공할 뿐 아니라 물건 매매, 여행 루트 안전 확보 등 종합 서비스가 이루어졌다. 보통 20~30km마다 대상 숙소들이 있는데, 이 거리는 낙타가 하루 동안 걸을 수 있는 거리이다.

비단길이라는 뜻이다. 동방에서 서방으로 간 대표적 상품이 중국산의 비단이었던 데에서 유래하는데 서방으로부터도 보석·옥·직물 등의 산물이나 불교·이슬람교 등도 이 길을 통하여 동아시아에 전해졌다.

이 통상로에는 타클라마칸사막의 북변을 통과하는 서역북도(西)와, 남변을 경유하는 서역남도(西)가 있다. 똑같이 파미르 고원을 넘어 서(西)투르키스탄의 시장에 이르며, 또한 동방으로는 간쑤성[] 둔황[]에서 합해져 외길로 되어 황허강[] 유역까지 이르렀다.

다만 초기의 것은 둔황의 서방에 위치하는 로브노르의 동단()에서 남북으로 갈라져, 북도는 후베이[]의 누란(), 남도는 후난[]의 미란을 경유하여, 두 오아시스를 국제시장으로 번영하게 하였다. 그러나 3세기경부터 로브노르 일대의 건조화()가 진행되면서, 북도는 둔황에서 북행하여 톈산산맥[]의 동단, 투루판분지[]를 경유하여, 카라샤르[]·쿠차[카슈가르[]에 이르게 되었다.

한편 로브노르의 남안을 서쪽으로 향하여 우전[闐]에 이르는 남도는 점차 이용도가 낮아졌다. 그 때문에 당()나라의 서역경영은 제2차의 서역북도에 따라 행하여졌으며, 후대에 톈산남로[]의 호칭이 생기게 된 것도 같은 서역북도였다.

실크로드는 타클라마칸사막의 주변에 산재한 다수의 오아시스 나라들의 대상활동으로 유지되었으며, 그 무역의 이익은 동방에서 중국인을, 북방에서 유목민을, 또 남방에서는 티베트인을 끌어들여 그들에 의해 강화되었다.

그러나 한편 이와 같은 외부세력에 의하여 시장이나 상로를 독점하려는 군사적 진출이 있었기 때문에 아시아의 형세를 좌우할 만큼 되어 있었다. 이 길의 동방과의 연결은 BC 2세기 후반의 한무제() 때라고 하지만, 그보다 2세기 앞서서 이미 동서의 교섭이 있었던 증거가 지적되고 있다.

그것은 중국의 전국시대()부터 한대() 초기에 걸쳐 간쑤성 서부를 점거하고 있던 월지(:禺)가 비단의 중계무역에 종사하였기때문이다. 그것은 당시 서역의 옥()이 월지의 중계로써 활발히 중국으로 수입되었고 이것을 중국인이 우씨(禺)의 옥이라고 부른 데에서 추측된다. 그 옥의 대가로서 당연히 비단의 수출을 생각하게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동서무역은, 한무제 때에 이르러 크게 조정의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장건()이 서역으로 특파(BC 139∼BC 126)된 것을 계기로 하여 처음으로 서방의 사정이 공적 기록에 오르게 되었다. 그 후 역대의 왕조는 동서의 무역에 열의를 나타내어 실크로드를 통과하는 여러 오아시스 나라들을 정치적으로 지배하려는 움직임도 활발하였다.

이와 같은 정세하에서 서방의 물건이 활발히 중국으로 도래하였으며 서방의 문물, 특히 이란의 조로아스터교·마니교로마에서 이단시()되었던 그리스도교의 한 파인 네스토리우스파도 중국으로 전래되었다. 7세기 중엽 당나라타림 분지안서도호부(西)를 설치한 무렵은 실크로드의 최성기()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안녹산(祿)의 난이 일어나고(755), 티베트군의 진출로 당나라와 서역과의 직접적인 교섭이 단절되자, 서역 동부는 위구르인()이 점거하고 고대부터의 문화를 계승하였으나 서부에는 이슬람 세력이 진전하고 있어서 실크로드는 중간의 파미르 근처에서 중단되었다.

이와 같은 경향이 결국 정치적으로 투르키스탄이 동서 2분으로 연계되어 오늘에 이른다. 또한 중국의 비단을 서방으로 운반한 점을 중시한다면, 실크로드가 점하는 범위는 더욱 넓어진다. 이란이나 지중해 연안까지 연장되기도 하고, 북아시아의 유목민을 매개로 하는 스텝지대를 관통하는 교역로(스텝 루트)나 남방의 남해제국()을 매개로 하는 해상교역로(시 루트)를 포함해야 한다.

'해외여행 > 중국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크로드 돈황  (0) 2007.05.22
신강성과 감숙성의 실크로드  (0) 2007.05.21
해라구와 신도교  (0) 2006.11.26
강정  (0) 2006.11.25
  (0) 2006.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