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성산(赤城山)은 전라북도 무주군에 있는 산으로, 덕유산 연봉 중 하나이다.
적성산이라는 이름은 산의 모습이 마치 붉은 치마를 두른 듯해서 붙여진 것으로 전해진다.
높이는 1,000미터 남짓으로 그리 높지 않으나, 산세가 험하고 가파른 벼랑이 있는 바위산이다
. 인공 저수지와 양수식 발전소가 설치되어 있고, 불교 사찰인 안국사가 있다.
천연의 요새와 같은 지형이기 때문에, 조선 시대에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던 사고가 설치되어 있었다.
저수지로 인해 원래의 터는 수몰되었고,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던 사각과 왕실 족보를 보관하던 선원각은 위치를 옮겨서 복원되었다.
적성산 사고에서 보관 중이던 《조선왕조실록》은 한국 전쟁 중 분실되었다.
<P class="desc_section fst" mouseX="3" mouseY="97">사적 제146호. 지정면적 214,975㎡, 둘레 약
3,000m. 현재 북문지·서문지 및 사고지(史庫址)가 남아 있다.</P>
<P class=desc_section>《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이 산성은 석축으로 둘레 1만6920척, 높이 7척이었으나 이제는 폐성되었다고
한다. 당시 성내에는 비옥한 토지가 있었고 못이 4개소, 우물이 23개소 있었다.</P>
<P class=desc_section>1612년(광해군 4)에 실록전(實錄殿)이, 1614년에 사각(史閣)이, 1641년(인조 19)에
선원각(璿源閣)·군기고(軍器庫)·대별관(大別館)이 1643년호국사(護國寺) 등이 세워졌는데, 이들은 별장·참봉·승장 들이 거느리는 무리에 의하여
수호, 보존되었다.</P>
<P class=desc_section>성벽은 무너져서 숲 사이에서 겨우 그 모습을 찾을 수 있고, 사각과 기타의 건물들도 그 터만이 남아
있다. 불과 90여년 전만 하더라도 사각 등의 수리를 위하여 고종이 수리비를 지급하였다는 사실이 기록에 나오는 것으로 보아 건물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나, 지금은 하나도 남아 있지 않다.</P>
<P class=desc_section>이 성이 있는 상산(裳山)은 상성산(裳城山)이라고도 하는데 호남에서 영남으로 가는 길목에 있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에서 신라로 가는 요로이기도 하였으며, 산 가운데에는 넓은 분지가 있다.</P>
<P class=desc_section>고려 말에 거란병이 침입하였을 때 인근 수십여 곳의 군현이 도륙되었는데도 여기에 사는 주민들만은 그
참화를 면하였다고 한다.</P>
<P class=desc_section>최영(崔塋)은 이 곳에 산성을 축조하고 창고 짓기를 건의하였으며, 조선 세종 때의 체찰사
최윤덕(崔潤德)도 이곳을 살펴본 뒤 반드시 축성하여 보존할 곳이라고 건의한 바 있다. 이러한 사실에서 이 산성은 고려 말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P>[Daum백과] 적상산성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